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소재의 조선시대 고가.
2002년 4월 15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21호로 지정되었다. 청송심씨(靑松沈氏)의 득성촌(得姓村)인 덕천리 마을 안쪽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건물의 남쪽과 동쪽으로는 토담이 있고 담장을 따라 정원과 텃밭을 마련해 놓았으며 건물 오른쪽에는 예로부터 사용해온 오래된 우물이 남아 있다.이 고가는 조선 순조 때 통정대부명지중추부사를 지낸 청송심씨 석촌공파(石村公派) 17세조 덕활(德活)이 요절한 아우 덕종(德宗)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憲文)의 네 번째 돌을 기념하여 1806년(순조 6) 무렵에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21세조인 선해(宣海)가 1900년에 보수하여 대대로 살고 있다. 전면의 대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큰사랑 공간이 차지하고, 왼쪽은 작은사랑이 온돌방 좌우로 외양간(지금의 창고)과 고방(庫房)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간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2칸통의 안방과 부엌이 연결되어 정침의 좌익사로 구성되어 있고, 대청의 오른쪽은 건넌방과 창고가 연결되어 정침의 우익사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 부분은 건물 전면의 대문간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큰 사랑, 왼쪽에 작은 사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큰사랑은 2칸통의 사랑방과 사랑방 전면에 2칸 사랑마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랑마루 전면의 기둥은 원주를 사용하였다.대문간 왼쪽에 있는 작은사랑은 가운데 온돌방을 중심으로 왼쪽 고방과는 쌍여닫이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온돌방의 오른쪽은 대문간과 사이에 원래는 외양간이 꾸며져 있었는데 지금은 창고로 쓰인다. 작은사랑 남쪽 전면에는 고방과 온돌방 전면에 쪽마루를 설치하고, 쪽마루 하부에는 난방을 위한 함실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뒤편으로는 안채로 통하는 외여닫이문이 설치되어 있다. 안대청의 상부구조는 3량가로서 결구된 간단한 구조이며, 배면은 판벽에 쌍여닫이 판문을 설치하였고, 대청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경상북도 북부지방 반가(班家)의 평면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는 이 고가는 청송지역 고가옥 건축수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상품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동영상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등록된 지하철 정보가 없습니다.
|
|
|

주변버스
덕천2리
|
-
- 농어촌
-
청송-구수
,
청송-신흥
,
청송-이사리
,
청송-지경
|
덕천2리
|
|
지역상권
시간대별 유동인구 |
男10대 |
男20대 |
男30대 |
男40대 |
男50대 |
女10대 |
女20대 |
女30대 |
女40대 |
女50대 |
12시~13시까지(주중)
|
4명 |
6명 |
8명 |
8명 |
4명 |
2명 |
4명 |
10명 |
6명 |
6명 |
19시~20시까지(주중)
|
10명 |
10명 |
116명 |
14명 |
6명 |
6명 |
6명 |
16명 |
26명 |
12명 |
12시~13시까지(주말)
|
10명 |
6명 |
8명 |
10명 |
4명 |
12명 |
10명 |
10명 |
6명 |
2명 |
19시~20시까지(주말)
|
6명 |
6명 |
10명 |
12명 |
12명 |
10명 |
6명 |
22명 |
20명 |
16명 |
실내뷰
등록된 실내 정보가 없습니다.


near by
운봉관
|
 |
|
이용하신 업체의 후기를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욕설 및 상업적인 광고등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됩니다.) |
|
|
|
|